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는 AI에 대한 현행 연방 지침의 저장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 자원 센터(AIRC)를 개설했다. 3월 30일 정식 출범한 AIRC는 이해관계자들이 이전에 발행된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책임 있는 AI 시스템 구축을 돕는다. 이 자료들은 NIST AI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와, 함께 제공되는 플레이북을 지원하고 운용한다. 향후 향상된 기능은 다양한 AI 자원을 활용하여 대화형 역할...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명세서는 발명의 명칭(title of invention), 상호 관련 참고자료(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발명의 배경(background), 요약(summary),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청구범위(what is claimed is), 공개의 요약(Abstract) 순으로 작성된다....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법35 U.S.C. §112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베스트 모드(best mode)를 명세서에 기재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만약 발명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명세서에 기술한 것보다 더 좋은 모드를 알고 있거나 베스트 모드를 숨긴다면 해당 특허는 무효화될 수 있다.이때 베스트 모드 조건은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대상에만 요구되므로 베스트 모드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전에 특허청구범위를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자가 출원일 이후에 베...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명세서는 미국 특허법 35 U.S.C. §112조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실시 가능할 수 있도록 명백하고 자세히 작성돼야 한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해당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기술에 숙달된 전문가를 의미하며 해당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지식의 정보를 당업자가 실시 가능하도록 공개해야 된다.즉 발명가는 발명을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를 적확하게 설명해야 하며 당업자가 스스로 발명을 만드는...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명세서는상세한 설명에서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해야 한다.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보정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특히 청구 범위를 보정하거나 새로운 청구항을 추가했을 때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면 보정된 청구 범위는 최초 출원시에 설명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다는 이유로 거절된다.이 경우에는 새로 출원할 수 있으나 최초 출원일의 ...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명세서에는 미국 특허법35 U.S.C. §101조의 규정에 따라 발명의 실용성이 존재해야 한다. 기계 분야와 전기 분야에서는 이 요건이 적용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화학분야와 생명공학분야에서는 종종 발생될 수 있다. 미국 특허청의 심사관이 실용성에 관한 문제로 거절하는 경우에는 발명의 목적 중 최소한 하나의 실용성을 증명하여야 하며, 다음 6가지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첫째, 발명이 공중의 이익이 될 수 있는 실용성을 증명하면 실용성의 조건...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청에 특허를 청구할 때 청구 범위를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6가지 사항을 유의하는 것이 좋다.첫째, 청구항에 선행해 언급된 용어가 아니라면 "the", "said", "such"와 같은 용어를 사용할 수 없다.둘째, 청구 범위의 구성요소는 명세서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거나 뒷받침돼야 한다. 즉 청구 범위의 구성요소가 명세서에 의해 전혀 설명되지 않거나, 일치되지 않거나, 불명확하면 명세서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종속항의 경우에는 하나의 독립항에 5개 이상의 종속항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속항이 그 자체로 특허성이 있다면 독립항으로 작성하는 것이 권장된다. 너무 많은 수의 청구항을 작성하는 경우에 권리범위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사한 청구항들은 상호간에 중복항으로 인해 거절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종속항은 독립항의 범위를 한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불명료한 용어에 관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사용될 ...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초안을 작성할 때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종류의 출원을 진행하고 하나의 출원에 다양한 범위의 청구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의 주의 사항은 발명의 신규성이 강조되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3단계에 걸쳐 특허 범위를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1단계에서 발명의 특징을 모두 나타내는 "그림 청구범위(picture claim)"를 작성한다.그림 청구범위에서는 하위 구성요소와 그 상호작용...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작성시에 양자 택일의 문장(A, B or C)은 명확성이 결여돼 잘 사용되지 않지만 마쿠쉬(Markush) 타입의 청구항은 예외에 해당된다. 마쿠쉬 타입의 청구항은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uop of A, B and C"와 같은 표현을 사용해 양자 택일을 설명할 수 있다.이때, 마쿠쉬 타입의 청구항에서는 "consisting of"와 같은 폐쇄형 전제부를 사용해야 한다. 마쿠쉬 타입의 청...
▲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SG 13 회의 모습 KT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13일부터 24일(현지시간)까지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이하 ITU-T)의 연구 그룹 13(Study Group 13, SG 13) 회의에서 제안한 양자 인터넷 기술이 국제표준화 과제로 승인됐다고 27일 밝혔다. ITU-T는 전 세계 통신 분야 정책과 표준화를 주관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표준화 부문으로, 산하 연구 그룹에서 표준화 과제로 승인된 기술은 회원국 간 논...
(사진 출처: IEC) 테스트 리포트 폼(이하 TRF)은 완전하며 IEC와 ISO 표준에 완벽히 부합한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이하 IEC)는 2,000개 이상의 TRF를 발행했다. 이러한 TRF 문서는 제품 또는 구성 요소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를 보여주며, 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한다. 이 문서는 National Certification Body(NCB; 국가인증기관)에 의해 작성된다. 또한 시험 또는 분석을 문서화하는데 필요한 ...
▲ 선도적 시계열 플랫폼 인플럭스디비(InfluxDB) 크리에이터 인플럭스데이타(InfluxData) [출처=홈페이지] 미국 인플럭스데이타(InfluxData)에 따르면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ISMS)에 대한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표준인 ISO/IEC 27001:2013 인증을 획득했다.인증 범위는 기본적인 인플럭스디비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및 엔터프라이즈 제품 운영을 지원하는 ISMS로 구성된다. 개...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에서 종속항은 독립항의 전제부를 동일하게 반복한 후, "as recited in claim 1", "of claim 1", "as specified in claim 1" 또는 "as defined in claim 1"과 같은 표현을 사용해 청구항에 대한 종속성을 나타낸다. 종속항은 일렬로 숫자를 붙여 기술하며, 독립항보다 먼저 기술돼서는 안 된다.종속항은 해당 청구항 내에 기술되는 구성요소의 상호 작용과 독립항의 구성요소들의 상...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서 정의하는 각 구성요소들이 청구범위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서로 독립적으로작성돼야 한다. 하나의 단락 형태, 하위 단락 형태, 테이블 형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단락 형태에서는 각 구성요소가 콤마로 구분된다. 하위 단락 형태나 테이블 형태는 청구범위가 복잡한 경우에 사용된다.청구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언급하기 위해 명세서나 도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참조 번호를 청구범...
▲ 폐기물 처리 및 폐기물 관리 서비스 기업 그런던(Grundon) [출처=홈페이지] 영국 폐기물 처리 및 폐기물 관리 서비스 기업 그룬돈(Grundon)에 따르면 자사 브리스톨 사이트(Bristol site)가 국가표준기구 영국표준청(BSI)의 세부 감사를 거쳐 에너지 경영에 대한 ISO 50001 인증을 획득했다.ISO 50001 인증은 그룬돈의 자원 보존과 함께 비즈니스 환경 영향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활용해 수익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또...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각 구성요소들은 청구 범위를 쉽게 이해하도록 논리적으로 배열돼야 한다. 논리적인 배열에는 기능적 배열과 구조적 배열을 포함한다.기능적 배열에서는 발명이 동작하는 기초 물건에 가까운 정도에 따라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배열한다. 구조적 배열에서는 기초(기계 발명의 경우)나 에너지원(전자 회로의 경우)을 먼저 설명하고 기초로부터 만들어지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다수의 구성요소를 동시에 기술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능적이나...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되는 기능적 용어는 구성요소의 의미가 아닌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정의한다. 기능적 용어는 구성요소의 조합인 경우에 사용된다.미국 특허법35 U.S.C. §112조에서 언급된 "means clause" 용어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수단이나 단계(means or step for performing aspecified function)로 기술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apparatus which shakes a co...
▲ 중국국가표준화관리위원(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 [출처=홈페이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 미국 특허 청구 범위의 본문(body)은 전제부(preamble)과 연결부(transition) 이후에 설명하는 문장으로 작성된다. 청구 범위의 본문(body)은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과 구성요소가 구조적, 물리적, 기능적으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기술한다.독립항에서 구성요소를 처음 설명할 때 부정접두어("a", "an")를 붙인다. 복수인 경우나 수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붙은 경우에는 예외가 인정된다.또한 수단을 나타내는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