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맑음속초18.6℃
  • 황사16.4℃
  • 맑음철원14.7℃
  • 맑음동두천13.8℃
  • 맑음파주12.8℃
  • 맑음대관령11.1℃
  • 맑음춘천16.3℃
  • 황사백령도10.6℃
  • 맑음북강릉18.5℃
  • 맑음강릉19.3℃
  • 맑음동해19.1℃
  • 황사서울14.9℃
  • 황사인천10.8℃
  • 맑음원주17.2℃
  • 맑음울릉도15.8℃
  • 황사수원13.4℃
  • 맑음영월16.9℃
  • 맑음충주17.0℃
  • 맑음서산12.1℃
  • 맑음울진18.9℃
  • 황사청주18.1℃
  • 황사대전16.3℃
  • 맑음추풍령16.5℃
  • 황사안동18.0℃
  • 맑음상주18.2℃
  • 황사포항20.5℃
  • 맑음군산11.6℃
  • 황사대구20.1℃
  • 구름조금전주14.0℃
  • 황사울산19.3℃
  • 구름조금창원18.7℃
  • 황사광주17.6℃
  • 구름조금부산17.8℃
  • 맑음통영17.4℃
  • 황사목포12.7℃
  • 황사여수20.7℃
  • 안개흑산도10.4℃
  • 구름조금완도16.1℃
  • 맑음고창13.0℃
  • 맑음순천17.7℃
  • 황사홍성(예)13.5℃
  • 맑음15.8℃
  • 맑음제주15.4℃
  • 구름조금고산13.5℃
  • 맑음성산17.5℃
  • 맑음서귀포17.7℃
  • 맑음진주20.9℃
  • 맑음강화9.6℃
  • 맑음양평16.3℃
  • 맑음이천16.2℃
  • 맑음인제16.4℃
  • 맑음홍천16.3℃
  • 맑음태백12.8℃
  • 맑음정선군15.2℃
  • 맑음제천15.8℃
  • 맑음보은16.2℃
  • 맑음천안16.2℃
  • 맑음보령10.9℃
  • 맑음부여14.7℃
  • 맑음금산15.9℃
  • 맑음15.8℃
  • 맑음부안12.4℃
  • 맑음임실15.8℃
  • 맑음정읍14.3℃
  • 맑음남원17.1℃
  • 맑음장수15.4℃
  • 맑음고창군13.6℃
  • 맑음영광군12.1℃
  • 맑음김해시21.1℃
  • 맑음순창군17.6℃
  • 구름조금북창원22.1℃
  • 맑음양산시21.2℃
  • 맑음보성군17.4℃
  • 맑음강진군17.3℃
  • 맑음장흥16.6℃
  • 구름조금해남15.1℃
  • 맑음고흥17.5℃
  • 구름조금의령군18.9℃
  • 맑음함양군18.7℃
  • 맑음광양시19.6℃
  • 구름조금진도군13.1℃
  • 맑음봉화13.9℃
  • 맑음영주16.7℃
  • 맑음문경17.5℃
  • 맑음청송군15.8℃
  • 맑음영덕18.9℃
  • 맑음의성17.4℃
  • 맑음구미18.7℃
  • 맑음영천19.0℃
  • 맑음경주시19.7℃
  • 맑음거창17.4℃
  • 맑음합천19.5℃
  • 맑음밀양19.7℃
  • 맑음산청19.3℃
  • 맑음거제17.8℃
  • 맑음남해20.6℃
  • 구름조금19.9℃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연재 컬럼 Ⅰ] 신뢰란 무엇인가? 신뢰의 효과-시장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컬럼 Ⅰ] 신뢰란 무엇인가? 신뢰의 효과-시장

신뢰는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시장을 활성화하며, 시민사회를 성숙시키고, 국가와 정부를 튼튼하게 하며, 가상공간을 활성화 한다.

신뢰가 높은 국가는 왜 경제 수준이 높을까?

자원이 풍부한 국가는 왜 빈곤하고, 자원이 부족한 국가는 왜 부유할까?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신뢰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박희봉교수.jpeg

 

▲ 박희봉 교수(중앙대 행정대학원 원장)


신뢰가 시장에 활력을 줌으로써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가 있다. 

신뢰가 높은 나라가 그렇지 않은 나라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롭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한다.

실제로 신뢰가 높은 서유럽과 미국은 경제 수준이 높은 반면, 신뢰가 낮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경제 수준이 매우 낮다. 이 결과만으로도 신뢰와 경제 수준 간에 쌍방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신뢰가 높은 사회, 지역, 공동체, 가정 등 대부분의 집단, 그리고 개인 역시 경제적으로 풍요롭다.

 

낵과 키퍼(Knack & Keefer, 2001)는 27개국 사례연구에서 신뢰가 축적된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경제성장률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퍼트남(Putnam, 1993)은 이탈리아에 대한 지역 연구에서 신뢰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명히 말했다. 이탈리아를 지역 단위로 구분하여 신뢰와 경제 수준을 조사하였더니 신뢰가 높은 지역은 경제 수준이 높고, 신뢰가 낮은 지역은 경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노스(North, 1990)와 올슨(Olson, 1982)은 신뢰가 거시경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들은 국가에 따라 국민 일인당 소득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단순히 생산자원의 분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신뢰가 바탕이 되어 국가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가의 여부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 신뢰가 어떻게 경제 수준을 높일 수 있을까? 평판효과와 거래 비용이라는 이론에 의해 깔끔하게 설명된다. 우선 평판효과는 집단 구성원들이 신뢰가 높다는 평판을 계속 유지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신뢰를 중시하는 사회에서는 신뢰가 높게 형성 된다는 것이다. 신뢰할만한 행동을 한 사람은 그에 따른 평판이 형성되고, 신뢰받지 못할만한 행동을 한 사람 역시 그에 따른 평판이 형성이 되는 사회에서는 구성원 스스로 신뢰받을 행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신뢰를 중시하는 사회는 지속적으로 높은 신뢰를 유지하게 되는 동시에,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구성원들 간의 활발한 경제활동으로 인해 경제발전을 유지하게 된다.

 

평판효과에 따른 높은 신뢰 유지는 바로 거래비용의 감소와도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신뢰가 높은 사회에서는 거래 당사자들이 경제행위 과정에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즉 경제활동에 수반되는 각종 위험성이 줄고, 계약에 있어서 법적 절차 등이 간소화된다. 그 결과 거래비용이 줄어들게 되어 거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뢰가 높은 사회에서는 상호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고, 상대방으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유익하고 정확한 정보가 소통되면 활발한 경제활동이 가능하다. 신뢰가 거래 과정에 윤활유 역할을 함으로써 경제 활성화로 이어진다.

 

신뢰가 없다면 경제활동이 이루어질 수 없다. 신뢰가 부족한 사회는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사회발전, 환경보호, 복지사회, 거버넌스 확립 등 지속가능한 국가사회 건설이 어렵다. 자연자원, 인적 자본, 생산량이 같은 국가라 하더라도 신뢰가 부족하면 구성원 간의 협력이 불가능하게 되어 정상적인 경제적 성취가 불가능하다. 한 국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원들간에 신뢰가 부족한 경우 다양한 구성원을 연결할 법, 제도, 상거래 관습 등이 작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신뢰는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역량을 키워 간접적으로 경제발전을 촉진한다.

 

상식적으로는 자원이 많은 국가는 경제 수준이 높고, 자원이 부족한 국가는 경제 수준이 낮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아주 다르다. 자원이 많으나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국가가 많고, 오히려 자원이 별로 없지만 경제 수준이 높은 국가도 많다. 이를 자원의 비극이라고 한다. 자원은 많으나 경제 수준이 낮은 국가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 정부 신뢰, 제도에 대한 신뢰가 낮다. 이런 나라 사람들은 각자 살 길을 찾고, 다른 사람과의 협력이 없다. 신뢰가 부족하기에 구성원들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공식·비공식제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다. 국가의 전체적인 역량이 부족하다. 이러한 나라들은 장기적인 재산권을 보장하고 계약을 공정하게 집행하지 못한다. 각종 제도가 불합리하고, 정부의 공공정책도 일관성이 없다.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계약이 공정하게 집행되지 못하고, 장기적인 재산권을 보장하는 제도가 부족하며, 경제정책이 실패하면서 자원의 효율적 운영에 제한을 받는다. 그러니 경제활동을 제대로 할 수 없고, 그 결과 경제성장이 불가능 하다.

 

미국은 빈민가의 만성적인 빈곤 문제를 더 이상 자원의 부족으로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아무리 많은 경제적 지원을 해도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역 공동체가 함께 신뢰와 협력으로 스스로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만이 궁극적으로 빈곤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은행(World Bank) 역시 제3국가들이 가난에서 탈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뢰를 비롯한 사회자본의 축적에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했다.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신뢰, 사회 신뢰, 법과 제도에 대한 신뢰, 정부 신뢰, 국가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지 않고는 빈곤 퇴치가 불가능하고 경제발전은 더욱 요원하기 때문이다.

 

  

※ 본 컬럼은 박희봉교수의 저서 『신뢰사회로 가는 길 신뢰의 진화』에서 발췌, 인용한 글입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