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속초24.0℃
  • 맑음14.7℃
  • 맑음철원15.2℃
  • 맑음동두천16.7℃
  • 맑음파주17.6℃
  • 맑음대관령12.1℃
  • 맑음춘천15.5℃
  • 맑음백령도18.2℃
  • 맑음북강릉22.6℃
  • 맑음강릉24.4℃
  • 맑음동해23.2℃
  • 맑음서울20.5℃
  • 맑음인천20.4℃
  • 맑음원주17.4℃
  • 맑음울릉도20.7℃
  • 맑음수원17.8℃
  • 맑음영월14.1℃
  • 맑음충주15.1℃
  • 맑음서산16.9℃
  • 맑음울진19.9℃
  • 맑음청주19.3℃
  • 맑음대전16.9℃
  • 맑음추풍령16.4℃
  • 맑음안동16.1℃
  • 맑음상주20.7℃
  • 구름조금포항22.0℃
  • 맑음군산17.3℃
  • 맑음대구21.4℃
  • 맑음전주18.3℃
  • 구름조금울산18.8℃
  • 맑음창원18.7℃
  • 박무광주19.0℃
  • 구름조금부산19.9℃
  • 맑음통영18.1℃
  • 구름많음목포19.3℃
  • 맑음여수19.6℃
  • 박무흑산도20.3℃
  • 맑음완도18.9℃
  • 맑음고창16.3℃
  • 맑음순천18.4℃
  • 맑음홍성(예)16.5℃
  • 맑음15.3℃
  • 맑음제주19.7℃
  • 맑음고산19.6℃
  • 맑음성산15.2℃
  • 맑음서귀포17.3℃
  • 맑음진주16.0℃
  • 맑음강화18.4℃
  • 맑음양평15.6℃
  • 맑음이천15.8℃
  • 맑음인제14.4℃
  • 맑음홍천14.6℃
  • 맑음태백14.2℃
  • 맑음정선군12.3℃
  • 맑음제천13.4℃
  • 맑음보은14.1℃
  • 맑음천안14.6℃
  • 맑음보령17.4℃
  • 맑음부여14.2℃
  • 맑음금산14.2℃
  • 맑음15.6℃
  • 맑음부안17.2℃
  • 맑음임실14.1℃
  • 맑음정읍16.2℃
  • 맑음남원15.6℃
  • 맑음장수12.6℃
  • 맑음고창군15.0℃
  • 맑음영광군16.7℃
  • 구름조금김해시19.2℃
  • 맑음순창군15.4℃
  • 맑음북창원19.6℃
  • 구름조금양산시19.4℃
  • 맑음보성군19.6℃
  • 맑음강진군17.0℃
  • 맑음장흥16.9℃
  • 맑음해남15.4℃
  • 맑음고흥16.2℃
  • 맑음의령군16.5℃
  • 맑음함양군14.6℃
  • 맑음광양시17.9℃
  • 맑음진도군14.6℃
  • 맑음봉화13.0℃
  • 맑음영주16.5℃
  • 맑음문경18.6℃
  • 맑음청송군13.9℃
  • 맑음영덕21.7℃
  • 맑음의성14.8℃
  • 맑음구미19.3℃
  • 맑음영천18.3℃
  • 구름조금경주시22.0℃
  • 맑음거창13.5℃
  • 맑음합천15.9℃
  • 구름조금밀양17.7℃
  • 맑음산청16.5℃
  • 맑음거제17.5℃
  • 맑음남해17.9℃
  • 구름조금18.6℃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고추나무 지지대를 바라보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고추나무 지지대를 바라보며....

19.jpg

 


갑작스럽게 내리는 비를 피해 어느 카페 캐노피에서 잠시 서 있었는데 작은 음악소리가 흘러나온다. 이 곡은 브린 터펠이 부르는 "HOME SWEET HOME'이라는 제목의 미국 노래였다. 우리에게는 번안곡으로 '즐거운 나의 집'으로 잘 알려진 노래로 필자도 학창 시절에 합창대회에서 즐겨 불렀던 단골 노래이기도 하다.


이렇게 귀에 익숙한 노래는 미국에서도 남북전쟁이 발발했을 때 북군이고 남군이고 가릴 것 없이 전쟁이 빨리 끝나서 집에 돌아가고 싶은 간절한 마음에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이 곡을 작사한 사람은 단 한 번도 가정을 가지지 못한 채 방랑하면서 타향에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하니 한편으로는 아이러니하고 한편으로는 슬픈 노래가 아닌가도 생각하게 한다. 모든 사람들이 해가 지면  달콤하고 포근한 나의 집으로 돌아가서 가족들과 식사를 하면서 편하게 쉬고 것이 가장 기본적인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요즘은 생각지도 못한 코로나 19라는 초유의 사태로 갑작스러운 실직, 폐업 등 경제적 사유로 세상을 비관하며 안타깝게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자살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 희망재단에서 발간한 「2022 자살예방 백서」를 보면 2020년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는 1만 3,195명으로 전년 대비 604명(-4.4%) 감소하였고, 자살률은 25.7명으로 전년 대비 1.2명(-4.4%) 감소하였다고 한다. 보건보건부 당국자는 “2022 자살예방백서는 코로나 19라는 국가재난 상황을 경험한 첫해의 자살 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다행히 자살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향후 추세는 조심스럽게 지켜봐야 한다.”라고 보도자료에서 언급했지만 OECD 회원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4.6명(’ 19년)으로 회원국 중 가장 높고, OECD 평균(11.0명)보다 2.2배 높다.  

 

아울러 최근 5년(2017~2021년)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을 보면 ’ 21년 기준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은 2.1배, 불안장애는 1.6배 많고 우울증과 불안장애 모두 20대 환자가 각각 127.1%, 86.8%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제는 어느 세대보다도 행복하다는 젊은 이들도 고달프다고 한다. 

 

대한민국 건국이래 참혹한 6.25 전쟁을 겪고 난 후 그 어느 때보다 가장 찬란한 문화, 부강한 경제 속에서 이처럼 생각지도 못한 자살률,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각종 지표들을 보면  "즐거운 곳에서는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 뿐이리. 내 나라 내 기쁨 길이 쉴 곳도 꽃 피고 새 우는 집 내 집 뿐이리. 오 사랑 나의 집 즐거운 나의 벗 집 내 집 뿐이리..."라는 노래 가사가 이제는 새삼스럽고 낯선 느낌이 들어야 하나 할 정도이다. 

정말로 이들에게 작지만 소담스러운 "즐거운 나의 집"은 없는 것일까?

 

필자의 부친이 시골에서 고추재배 때 싹이 오르자마자 꼭 굵은 철사봉 지지대를 받쳐주는 것을 보게 된다. 이는 가늘고 힘이 없는 줄기를 처음에 지지해주어야 힘차게 성장할 있기 때문이다. 

 

우리 가정이나 공동체 사회에서도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있는지 수시로 살펴보고 이들에게 고추나무에 철사봉을 지지하듯이 관심과 격려의 지지봉을 세워주면 어떨까 하는 바람이 있다. 

"꼭 많은 비용과 시간도 필요 없다."

잠깐이라도 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경청만 해줘도 좋다고 생각한다. 정말 "잠시만이라도"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