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속초19.9℃
  • 맑음19.7℃
  • 맑음철원18.9℃
  • 맑음동두천19.8℃
  • 맑음파주18.0℃
  • 맑음대관령13.1℃
  • 맑음춘천19.6℃
  • 안개백령도18.6℃
  • 맑음북강릉22.3℃
  • 맑음강릉23.3℃
  • 맑음동해19.6℃
  • 맑음서울22.3℃
  • 맑음인천22.1℃
  • 맑음원주21.7℃
  • 맑음울릉도20.3℃
  • 맑음수원19.3℃
  • 맑음영월17.9℃
  • 맑음충주19.0℃
  • 맑음서산19.3℃
  • 맑음울진21.6℃
  • 맑음청주23.3℃
  • 맑음대전21.7℃
  • 맑음추풍령16.8℃
  • 맑음안동19.7℃
  • 맑음상주19.1℃
  • 맑음포항21.1℃
  • 맑음군산20.1℃
  • 맑음대구20.9℃
  • 맑음전주22.5℃
  • 구름조금울산18.7℃
  • 구름많음창원19.1℃
  • 구름많음광주21.8℃
  • 구름많음부산20.9℃
  • 흐림통영17.9℃
  • 흐림목포21.2℃
  • 흐림여수20.0℃
  • 흐림흑산도19.6℃
  • 흐림완도18.5℃
  • 구름많음고창18.8℃
  • 구름많음순천14.4℃
  • 맑음홍성(예)19.4℃
  • 맑음18.8℃
  • 흐림제주22.0℃
  • 흐림고산20.6℃
  • 흐림성산21.2℃
  • 흐림서귀포22.0℃
  • 구름많음진주16.9℃
  • 맑음강화18.7℃
  • 맑음양평21.2℃
  • 맑음이천21.0℃
  • 맑음인제18.0℃
  • 맑음홍천19.7℃
  • 맑음태백14.2℃
  • 맑음정선군16.8℃
  • 맑음제천17.1℃
  • 맑음보은17.9℃
  • 맑음천안18.6℃
  • 맑음보령19.3℃
  • 맑음부여19.9℃
  • 맑음금산18.8℃
  • 맑음20.0℃
  • 맑음부안20.0℃
  • 구름조금임실18.1℃
  • 구름조금정읍19.8℃
  • 구름많음남원18.2℃
  • 구름조금장수16.5℃
  • 구름많음고창군18.6℃
  • 구름많음영광군18.7℃
  • 구름많음김해시19.8℃
  • 구름많음순창군19.0℃
  • 구름많음북창원20.5℃
  • 구름많음양산시19.5℃
  • 흐림보성군18.5℃
  • 흐림강진군18.4℃
  • 흐림장흥17.1℃
  • 흐림해남18.0℃
  • 흐림고흥16.0℃
  • 구름많음의령군18.3℃
  • 구름많음함양군17.4℃
  • 구름많음광양시19.5℃
  • 구름많음진도군18.1℃
  • 맑음봉화16.6℃
  • 맑음영주18.0℃
  • 맑음문경18.6℃
  • 맑음청송군15.2℃
  • 맑음영덕16.8℃
  • 맑음의성17.4℃
  • 맑음구미20.0℃
  • 맑음영천17.7℃
  • 맑음경주시17.9℃
  • 구름조금거창17.1℃
  • 구름조금합천18.9℃
  • 구름조금밀양18.9℃
  • 구름많음산청18.2℃
  • 흐림거제17.2℃
  • 흐림남해18.9℃
  • 구름많음18.6℃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행복이란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것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행복이란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것

23.jpg

 

"행복이란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것이고 불행이란 아무도 우산을 빌려주지 않은 것이다". 라는 피천득 시인의 글귀가 멋지게 이어지면서 "한 사람이 또 한 사람에게 우산이 되어줄 때 또 한 사람의 마른 가슴에 단비가 됩니다". 라고 끝을 맺는다. 요즘 각박한 세상을 살면서 이처럼 청량한 느낌을 주면서도 따듯한 글이 또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최근 대한민국이 몽골 국립의료원에 CT와 MRI는 물론 몽골 유일의 특수 촬영 의료기기까지 보유한 국립진단센터를 지어 주었다고 한다. 이제는 고난도 수술도 가능하다고 한다. 이는 지난 5년간 공적개발원조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을 통해서 한화로 550억이 지원된 결과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의 뜻깊은 결실을 보면서 과거 우리나라가 정말로 어려웠던 시절이 생각났다. 6.25 전란 이후 헐벗고 굶주렸을 당시에 여러나라에서 가난한 대한민국을 구호하고자 많은 식량을 원조해 주었다. 필자도 어릴 때 부모님을 대신해서 멀리 떨어져 있는 동사무소에 가서 밀가루 한 포대를 어깨에 지고 집에 돌아올 때가 있었는데 이 날만큼은 수제비를 배불리 먹고 미처 소화되지 않아서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로 행복한 날이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다른 나라를 도와줄 정도로 부강하게 성장한 내 나라 대한민국이 너무 자랑스럽다. 


몇 년 전 필자도 가족과 함께 캄보디아 시엡립에 있는 앙코르와트 사원을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다 쓰러져가는 사원 유적지를 캄보디아 국가가 아닌 프랑스, 독일, 일본, 인도 , 미국 등 17개국들이 공적개발원조 ODA사업으로 복원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참여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하고 부러워 했는데.... 


한참을 걷다 보니 앙코르톰 왕궁 뒤편 프레아피투 사원에서 우리나라 ODA사업으로 열심히 복원 모습을 보게 되었다. 순간 너무도 놀랍고 반가웠다. 폭염 속에서도 우리나라 전문가들이 진력을 다해 복원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한국인으로서 작은 손길이라도 도와주고 싶은 심정이었다.  


202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21년 공적개발원조 집계’ 결과를 보면, 한국의 2021년 ODA 규모는 전년보다 6억 1천억 달러(26.9%)가 늘어난 28억 6천 달러다. 이는 우리나라가 OECD DAC에 가입한 이후 최대폭으로 증가한 수치이다. 외교부는 앞으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총 ODA 규모를 2019년 대비 2배 이상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명실공히 세계경제 10위인 대한민국에 걸맞는 말이다. 


요즘 휴일 저녁 TV를 보면 수많은 구호단체에서 해외의 가난한 국가와 어린이에게 구호 기금을 모금하는 것을 보게 된다. 어떤 화면은 너무 잔혹하고 자극적이라 채널을 돌릴 정도로 애처로웠다. 이런 장면을 볼 때면 우리나라의 6.25 전란 때 파괴된 건물 사이에 부모를 잃고 하염없이 울고 있는 어린아이 영상과 오버랩되기도 한다. 참으로 대한민국도 어려웠다. 전 국토가 온전한 것이 거의 없는 힘겨운 상태에서 오늘날 어느 선진국 부럽지 않게 성장했다. 이제 우리보다 어려운 국가들을 진정으로 도와야 할 때가 왔다. 


"삶이란 우산을 접었다 폈다 하는 일이요, 죽음이란 우산을 더 이상 펼칠 수 없는 일입니다"라고 하는 피천득 시인의 글을 보면서 국가, 사회는 물론 필자도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행복한 삶'을 살아야 겠다는 생각 속에 시집을 덮는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