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5 (수)

  • 흐림속초19.3℃
  • 구름많음24.5℃
  • 구름많음철원24.2℃
  • 구름많음동두천23.0℃
  • 구름많음파주20.7℃
  • 흐림대관령17.5℃
  • 구름많음춘천25.7℃
  • 흐림백령도19.3℃
  • 흐림북강릉19.2℃
  • 흐림강릉21.6℃
  • 흐림동해18.7℃
  • 구름많음서울23.5℃
  • 구름많음인천20.6℃
  • 구름많음원주25.7℃
  • 구름많음울릉도16.3℃
  • 구름많음수원20.8℃
  • 구름많음영월22.6℃
  • 구름많음충주22.7℃
  • 흐림서산20.8℃
  • 구름많음울진17.8℃
  • 구름많음청주25.3℃
  • 흐림대전23.8℃
  • 흐림추풍령21.1℃
  • 구름많음안동23.5℃
  • 흐림상주23.6℃
  • 구름많음포항20.4℃
  • 구름많음군산19.6℃
  • 흐림대구23.5℃
  • 흐림전주21.1℃
  • 흐림울산18.6℃
  • 구름많음창원18.7℃
  • 흐림광주22.6℃
  • 구름많음부산18.9℃
  • 흐림통영19.1℃
  • 흐림목포19.8℃
  • 흐림여수19.5℃
  • 흐림흑산도17.1℃
  • 흐림완도18.1℃
  • 흐림고창20.4℃
  • 흐림순천18.6℃
  • 흐림홍성(예)21.5℃
  • 구름많음23.0℃
  • 흐림제주20.5℃
  • 흐림고산18.5℃
  • 흐림성산19.9℃
  • 흐림서귀포19.9℃
  • 흐림진주19.3℃
  • 구름많음강화20.4℃
  • 구름많음양평25.4℃
  • 구름많음이천24.8℃
  • 구름많음인제21.8℃
  • 구름많음홍천23.6℃
  • 구름많음태백18.4℃
  • 구름많음정선군18.9℃
  • 구름많음제천21.8℃
  • 흐림보은21.4℃
  • 구름많음천안21.9℃
  • 흐림보령19.4℃
  • 흐림부여22.9℃
  • 흐림금산23.0℃
  • 구름많음24.0℃
  • 흐림부안19.8℃
  • 흐림임실21.1℃
  • 흐림정읍20.6℃
  • 흐림남원22.9℃
  • 흐림장수21.1℃
  • 흐림고창군20.1℃
  • 흐림영광군19.7℃
  • 구름많음김해시20.6℃
  • 흐림순창군22.6℃
  • 흐림북창원20.4℃
  • 흐림양산시21.4℃
  • 구름많음보성군19.8℃
  • 구름많음강진군19.7℃
  • 흐림장흥19.9℃
  • 흐림해남19.5℃
  • 흐림고흥18.4℃
  • 흐림의령군21.5℃
  • 흐림함양군21.6℃
  • 흐림광양시20.4℃
  • 흐림진도군19.1℃
  • 구름많음봉화18.8℃
  • 구름많음영주21.1℃
  • 구름많음문경20.9℃
  • 흐림청송군19.2℃
  • 구름많음영덕17.2℃
  • 구름많음의성23.1℃
  • 흐림구미25.0℃
  • 구름많음영천21.0℃
  • 구름많음경주시20.7℃
  • 흐림거창20.6℃
  • 흐림합천23.0℃
  • 흐림밀양23.5℃
  • 흐림산청21.6℃
  • 흐림거제18.5℃
  • 흐림남해19.6℃
  • 구름많음21.5℃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대만] 미디어텍, Wi-Fi 7 표준의 최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 시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표준

[대만] 미디어텍, Wi-Fi 7 표준의 최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 시연

media tek.jpg
▲ 미디어텍(MediaTek) 홈페이지

 

대만 기반 팹리스 반도체업체 미디어텍(MediaTek)에 따르면 Wi-Fi 7 표준의 공식 이름인 IEEE 802.11be에서 정의한 최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한  Wi-Fi 7의 능력을 시연했다.

Thunderbolt 3에 가까운 속도를 자랑했으며 다중 링크 운영(Multi-Link Operation, MLO) 기술도 시연했다. MLO는 무선 인터넷 간섭이나 속도 저하,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여러 채널을 동시에 운용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이다.

미디어텍은 처음부터 Wi-Fi 7 표준 개발에 참여해왔으며 Wi-Fi 7 Filogic 연결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프로토콜은 Wi-FI Alliance에서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시기는 알 수 없다. IEEE 802.11be 표준은 2021년 3월 초안이 완성됐으며 2024년초 최종 제정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미디어텍은 표준 제정 이전인 2023년을 목표로 Wi-Fi 7이 탑재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미디어텍은 Wi-Fi 7 기술이 가정, 사무실, 산업 네트워크 등의 백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멀티플레이어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어플리케이션에서 부터 클라우드 게임, 4K 통화, 8K 스트리밍, 그 이상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원활한 연결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더 빠른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 고해상도 비디오 스트리밍, VR 게임과 같은 까다로운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인해 Wi-Fi 6, Wi-Fi 6E, Wi-Fi 7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Wi-Fi 7은 320Mhz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4K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동일한 안테나 수에도 Wi-Fi 6보다 2.4배 빠를 속도를 제공한다.

Wi-FI Alliance Wi-Fi 7이 "최소 30" 기가비트/초(Gbps)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Thunderbolt 3와 동일한 속도인 40Gbps에 도달하려면 이를 초과해야 한다.

Wi-Fi 6는 최대 9.6Gbps까지 속도를 지원하고 있으나 WiFi 5는 최대 출력이 3.5Gbps이다. 802.11ax 기술에 부여된 마케팅 이름 Wi-Fi 6는 모든 아이폰 11과 이후 모델, 최신 아이패드 미니,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프로, 애플 실리콘 기반 모든 맥(Mac)에 지원된다.

Wi-Fi 6의 다음 단계인 Wi-Fi 6E를 지원하는 장치는 최대 7개의 추가 160MHz 채널이 있는 전용 6E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반면 Wi-Fi 6 장치는 Wi-Fi 4, 5, 6 장치와 같이 동일한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단지 2개의 160MHz 채널에서 운영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애플이 아이폰 13시리즈에서 Wi-Fi 6E를 포함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22년 내 아이폰 14 시리즈에도 Wi-Fi 6E 채택되고, 애플이 곧 출시할 AR/VR 헤드셋 징치에도 Wi-Fi 6E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애플은 현재 모든 기기에 Wi-Fi 6E 표준을 채택하고 있지 않아 언제 적용될 지 구체적인 일정이 나와 있는 것은 아니다. 향후 Wi-Fi 7에 대한 지원 계획 역시 희망사항일 뿐이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