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속초24.0℃
  • 맑음20.8℃
  • 맑음철원19.5℃
  • 맑음동두천20.8℃
  • 구름조금파주19.7℃
  • 맑음대관령18.1℃
  • 맑음춘천21.6℃
  • 흐림백령도21.0℃
  • 맑음북강릉23.6℃
  • 맑음강릉25.1℃
  • 맑음동해23.9℃
  • 맑음서울23.3℃
  • 맑음인천23.3℃
  • 맑음원주20.8℃
  • 구름많음울릉도22.3℃
  • 구름많음수원22.4℃
  • 맑음영월19.5℃
  • 구름조금충주21.2℃
  • 구름많음서산22.7℃
  • 맑음울진23.1℃
  • 구름조금청주23.7℃
  • 구름많음대전24.5℃
  • 맑음추풍령22.2℃
  • 맑음안동21.5℃
  • 맑음상주22.7℃
  • 구름많음포항24.3℃
  • 구름많음군산23.1℃
  • 구름조금대구23.6℃
  • 구름많음전주24.4℃
  • 박무울산21.5℃
  • 구름많음창원22.6℃
  • 흐림광주23.6℃
  • 구름많음부산23.1℃
  • 흐림통영20.9℃
  • 흐림목포23.4℃
  • 흐림여수22.0℃
  • 비흑산도21.7℃
  • 흐림완도22.2℃
  • 구름많음고창23.0℃
  • 구름많음순천21.2℃
  • 구름많음홍성(예)23.3℃
  • 맑음21.9℃
  • 비제주22.7℃
  • 흐림고산21.9℃
  • 흐림성산21.8℃
  • 비서귀포22.6℃
  • 구름많음진주21.7℃
  • 맑음강화22.2℃
  • 맑음양평20.6℃
  • 구름조금이천21.3℃
  • 맑음인제18.5℃
  • 맑음홍천19.3℃
  • 맑음태백16.8℃
  • 맑음정선군16.0℃
  • 맑음제천19.9℃
  • 맑음보은21.0℃
  • 맑음천안21.1℃
  • 구름많음보령24.0℃
  • 구름많음부여22.5℃
  • 구름많음금산22.5℃
  • 맑음23.3℃
  • 구름많음부안23.8℃
  • 구름많음임실21.4℃
  • 구름많음정읍24.5℃
  • 구름많음남원21.6℃
  • 맑음장수20.2℃
  • 구름많음고창군23.5℃
  • 흐림영광군23.3℃
  • 구름많음김해시22.6℃
  • 흐림순창군22.3℃
  • 구름많음북창원23.7℃
  • 구름많음양산시23.1℃
  • 흐림보성군22.3℃
  • 흐림강진군22.8℃
  • 흐림장흥22.3℃
  • 흐림해남22.9℃
  • 흐림고흥22.4℃
  • 구름조금의령군22.0℃
  • 구름조금함양군20.8℃
  • 구름많음광양시22.5℃
  • 흐림진도군22.6℃
  • 맑음봉화18.6℃
  • 구름조금영주20.8℃
  • 맑음문경21.9℃
  • 구름조금청송군19.5℃
  • 구름조금영덕22.2℃
  • 맑음의성21.9℃
  • 맑음구미23.9℃
  • 구름조금영천21.4℃
  • 구름많음경주시22.5℃
  • 구름많음거창20.7℃
  • 구름많음합천22.2℃
  • 구름많음밀양21.7℃
  • 구름조금산청21.0℃
  • 구름많음거제21.6℃
  • 흐림남해22.4℃
  • 구름많음22.9℃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특집-기술위원회] TC 229 나노기술(Nanotechnologies)... 나노기술 분야 표준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기술위원회] TC 229 나노기술(Nanotechnologies)... 나노기술 분야 표준화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6개... 개발 중인 표준 12개

UK BSI Group Homepage5.jpg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

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

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

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

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1999년 TC 219, TC 220 △2000년 TC 221, TC 222 △2001년 TC 224 △2002년 TC 225 △2004년 TC 226 TC 227 등이 있다.

ISO/TC 229 나노기술(Nanotechnologie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228과 마찬가지로 2005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데이비드 마이클(Dr David Micha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데니스 콜초프(Dr Denis Koltsov)로 임기는 2024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몬자 코르터(Ms Monja Korter)이며 ISO 편집 관리자는 타이나 비셰비치(Ms Tajna Biscevic)이다.

범위는 다음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 나노기술 분야 표준화다.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크기 의존 현상이 시작되어 새로운 응용이 가능해지는 하나 이상의 차원에서 100나노미터 미만 나노 규모의 물질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새로운 특성을 활용해 개선된 물질, 장치 및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개별 원자, 분자 및 벌크 물질의 특성과 다른 나노 규모 재료의 특성을 활용 하는 것이다.

특정 작업에는 용어 및 명명법, 기준 물질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 계량 및 계측, 테스트 방법론,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과학에 기반한 건강, 안전, 환경 실행과 같은 표준 개발이 포함된다.  

현재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6개며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58개국, 참관 회원은 47개국이다.

□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6개 중 15개 목록

▷ISO/TS 4958:2024 Nanotechnologies — Vocabulary — Liposomes

▷ISO/TS 4971:2023 Nanotechnologies — Performance evaluation of nanosuspensions containing clay nanoplates for quorum quenching

▷ISO/TS 4988:2022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and bioassimilation of manufactured nano-objects in suspension using the unicellular organism Tetrahymena sp.

▷ISO/TS 5094:2023 Nanotechnologies — Assessment of peroxidase-like activity of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

▷ISO/TS 5387:2023 Nanotechnologies — Lung burden mass measurement of nanomaterial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s

▷ISO/TS 7833:2024 Nanotechnologies — Extraction method of nanomaterials from lung tissue by proteinase K digestion

▷ISO/TS 10689:2023 Nanotechnologies — Superhydrophobic surfaces and coating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SO/TS 10797: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SO/TS 10798:2011 Nanotechnologies — Chara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alysis

▷ISO 10801:2010 Nanotechnologies — Generation of metal nanoparticle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using the evaporation/condensation method

▷ISO 10808:201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in inhalation exposure chamber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ISO/TS 10818:2023 Nanotechnologies — Textiles containing nanomaterials and nanostructures — Superhydrophobic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assessment

▷ISO/TS 10867:2019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near infrare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ISO/TS 10868:2017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ultraviolet-visible-near infrared (UV-Vis-NIR) absorption spectroscopy

▷ISO/TR 10929: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samples

□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12개 목록

▷ISO/FDIS 4962 Nanotechnologies — In vitro acute nanoparticle phototoxicity assay

▷ISO/AWI TS 4963 Nanotechnologies — Radiotelemetry-spectral-echocardiography based real-time surveillance protocol for in vivo toxicit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engineered nanomaterials (ENM)

▷ISO/AWI TS 4966 Nanotechnologies — Nanostructured porous silica microparticles for chromatography

▷ISO/AWI TS 5341 Nanotechnologies — Nomenclature — Part 1: General nomenclature

▷ISO/AWI TS 9651 'Nanotechnologies —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graphene‐related 2D materials

▷ISO/AWI 11308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 samples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O/CD TS 11353 Nanotechnologies — Test method for detection of nano-object release from respiratory masks media under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ISO/AWI TS 12769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in soils using plant Arabidopsis thaliana

▷ISO/TS 12901-1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1: Principles and approaches

▷ISO/CD TS 12901-2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2: Use of the control banding approach

▷ISO/AWI TS 12948 Nanotechnologies — Nanocomposite materials for insulating — Spec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

▷ISO/AWI TS 13121 Nanotechnologies — Nanomaterial risk evaluation

▷ISO/DTS 13329 Nanomaterials — Preparation of safety data sheets (SDS)

▷ISO/AWI TS 18196 Nanotechnologies — Measurement technique matrix for the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

▷ISO/DTS 1959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 using single particl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