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어릴 적 당했던 쌀가게 됫박 사건…

기사입력 2022.03.07 15: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한되.jpg

    한 홉(合), 한 되(升), 한 말(斗), 한 섬(石)이란 단어가 문득 떠오른다. 아마도 조선 시대부터 쓰였던 척근법의 하나로 부피의 단위로 쓰이는데 10홉이 1되가 되고 10되가 1말이 되고 10말이 1섬으로 부피를 쟀다. 한 예로 1섬은 쌀로는 144kg, 보리쌀로는 138kg 정도라고 한다. 

     

    그럼 필자가 어릴 적에 쌀 심부름갈 때 사 온 봉지 쌀은 얼마 정도일까? 가난했던 시절에 4식구의 대표로 발탁된 9살 아이가 쌀 한 봉지를 사러 쌀가게에 갔으니까 아마 1말(14, 4kg)의 절반인 7kg(약 5되) 정도일 것이다. 

     

    가끔 콩도 사고 팥도 산 적이 있는데 어느 날 쌀가게 주인아저씨의 눈빛이 예사롭지 못했다. 가게 안에는 공무원 아저씨들 같은 분들이 쌀을 담아주던 나무로 만든 됫박과 말(斗)을 요리조리 살펴보면서 여러 도구로 사용해서 검사하는 모습이 보였다. 마치 불의의 공격을 받은 피해자인 것처럼 주인아저씨의 눈빛은 안절부절못한 모습이었다. 공무원 아저씨들의 눈빛도 무척이나 예리함을 느낄 수 있었다. 

     

    “아저씨! 쌀 사러 왔는데…. 집에서 기다려요. 쌀 좀 주세요”라고 힘없이 이야기했지만, 쌀을 판매할 수 없는 가게 안에서의 묘한 분위기에 불안감을 느끼고 집으로 그냥 돌아왔던 기억이 있다. 결국, 엄마가 다시 쌀가게에 다녀온 후에 비로소 늦은 저녁을 먹을 수 있었다. 

     

    쌀도 하나 못 사 온다는 무능력한 아이로 평가절하되었던 쌀가게 불법적인 됫박 사건을 잊을 수 없었다. 그 당시에는 아마도 나무로 만든 되(升)나 말(斗)이 제각기 크기가 달라서 가난한 서민들의 피해가 컸다. 

     

    어릴 적 가끔 엄마가 “너는 길에 쌀을 흘리고 다니냐?”하고 의심받은 적도 있는데 쌀가게 아저씨가 의도적으로 꼬마 구매자를 속였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너무나 후진적 모습이 아닐 수 없다.

     

    한참 후에 세계사 시간에서 중국 진나라 시황의 도량형 통일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충격을 받았던 것은 어릴 때 쌀가게 아저씨에게 교묘하게 사기당한 트라우마였을까? 

     

    우리나라는 1959년 국제 미터협약에 가입했고 1961년에 국제단위를 법정 단위로 정했다. 그래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아직도 우리 주택의 크기를 “평”으로 불리고 거래된다는 점이다. 국민의 표준의식도 하루빨리 변화되길 기대해 본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