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기성품과 맞춤형

기사입력 2022.03.14 16: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SE-9ddd8f2b-956b-40da-b47a-5be225ddf08b.jpg

    1982년 2월, 대학에 합격한 대견한 아들을 위해 엄마는 내일 양복점에 가서 입학식에 가서 입을 양복을 사주신다고 한다. 나는 생애 처음으로 양복을 입은 모습을 상상하면서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로 기쁨과 설렘을 느꼈던 아주 좋은 기억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동네 양복점에 가서 제법 비싼 옷감(원단)을 고르고 몸의 주요 사이즈를 잰 후 며칠 후에 가봉을 하자고 했다. 가봉이란, 선택한 옷감과 사이즈를 기초로 제작하는 중간에 미리 입혀보고 수정하는 일을 말하는 데 이를 맞춤 양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이미 만들어진 기성복보다는 각기 다른 신체 사이즈로 새롭게 하나씩 만들어내는 맞춤복이 많았던 시기였다. 나는 하루빨리 입고 싶었으나 가봉 후에도 일이 더디어서 맞춤예정일보다 며칠이 지난 후에 비로소 꿈에 그리던 나만의 의복인 맞춤양복을 입을 수 있었다. 

     

    1990년 12월, 결혼을 앞두고 처갓집에서 양복을 해준다는 말을 듣고 처갓집 인근 유명 양복점에 갔었는데 그 양복들은 모두 기성품들뿐이었다. 팔 길이와 어깨 품, 허리둘레 사이즈만 맞으면 즉시 구매해서 입을 수 있었다. 위 2개의 대비되는 사례는 필자의 실제 경험담이다. 


    그러나 2000년대 와서는 때와 장소에 따라 기성복형 선호와 맞춤형 선호가 달라짐을 마치 시대사조와 같이 변화하기도 한다. 어느 때에는 원단의 질에 따라 비싼 기성복 양복이 부와 명예의 상징이 될 때가 있고 어느 때에는 맞춤양복이 부와 명예의 상징으로 나타날 때가 있다. 공직사회의 뇌물의 종류 중에 하나가 값비싼 양복쿠폰일 때도 있었다. 


    2020년대 요즘에는 인터넷만 봐도 한두 번 검색한 단어를 AI(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맞춤형으로 푸시 서비스나 광고를 제공해 줄 때 무척이나 당황한 적이 있었다. 

     

    포털에서 제공되는 푸시 광고를 받아보고 혹시 나를 쳐다보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우리 곁에 다가왔지만 아직도 진정한 영혼(?)이 없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절실하게 푸쉬해 주지 않고 너무 기계적으로 다가온다. 

     

    앞으로는 같은 양복점내에서도 구매자별로 각자의 신체사이즈를 컴퓨터로 투시하고 스크린해서 정상적인 신체사이즈는 정확하게 피팅(fitting)된 기성복으로 구입할 수 있게 하고 빅사이즈 혹은 불균형 신체사이즈 보유자는 맞춤형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AI로 서비스해 줄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한다. 개인별 데이터를 축적하여 맞춤형 제공서비스는 기성품이든 맞춤품이든 구분없이 우리 곁에 다가올 것이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