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속초15.2℃
  • 비17.7℃
  • 흐림철원17.8℃
  • 흐림동두천18.0℃
  • 흐림파주18.6℃
  • 흐림대관령15.8℃
  • 흐림춘천17.4℃
  • 비백령도13.9℃
  • 비북강릉19.3℃
  • 흐림강릉20.4℃
  • 흐림동해16.8℃
  • 비서울18.8℃
  • 비인천18.3℃
  • 흐림원주18.5℃
  • 비울릉도15.8℃
  • 비수원18.5℃
  • 흐림영월17.1℃
  • 흐림충주17.7℃
  • 흐림서산19.5℃
  • 흐림울진13.2℃
  • 비청주18.8℃
  • 비대전18.1℃
  • 흐림추풍령17.0℃
  • 비안동17.5℃
  • 흐림상주17.5℃
  • 비포항18.6℃
  • 흐림군산19.1℃
  • 비대구17.5℃
  • 비전주19.2℃
  • 비울산16.5℃
  • 비창원17.2℃
  • 비광주20.0℃
  • 비부산16.8℃
  • 흐림통영17.2℃
  • 비목포19.3℃
  • 비여수19.2℃
  • 비흑산도16.8℃
  • 흐림완도20.2℃
  • 흐림고창19.7℃
  • 흐림순천17.6℃
  • 비홍성(예)19.1℃
  • 흐림17.7℃
  • 비제주23.3℃
  • 흐림고산18.7℃
  • 흐림성산19.8℃
  • 비서귀포19.8℃
  • 흐림진주18.0℃
  • 흐림강화18.6℃
  • 흐림양평18.0℃
  • 흐림이천18.2℃
  • 흐림인제17.0℃
  • 흐림홍천18.1℃
  • 흐림태백15.5℃
  • 흐림정선군17.2℃
  • 흐림제천16.6℃
  • 흐림보은17.7℃
  • 흐림천안18.5℃
  • 흐림보령19.7℃
  • 흐림부여19.2℃
  • 흐림금산18.2℃
  • 흐림18.3℃
  • 흐림부안19.8℃
  • 흐림임실18.4℃
  • 흐림정읍19.9℃
  • 흐림남원20.2℃
  • 흐림장수17.5℃
  • 흐림고창군19.5℃
  • 흐림영광군20.0℃
  • 흐림김해시16.6℃
  • 흐림순창군19.2℃
  • 흐림북창원17.7℃
  • 흐림양산시17.7℃
  • 흐림보성군19.7℃
  • 흐림강진군21.2℃
  • 흐림장흥20.2℃
  • 흐림해남21.0℃
  • 흐림고흥20.4℃
  • 흐림의령군18.1℃
  • 흐림함양군17.8℃
  • 흐림광양시17.8℃
  • 흐림진도군19.3℃
  • 흐림봉화16.3℃
  • 흐림영주16.5℃
  • 흐림문경16.6℃
  • 흐림청송군17.0℃
  • 흐림영덕16.7℃
  • 흐림의성17.7℃
  • 흐림구미18.0℃
  • 흐림영천17.5℃
  • 흐림경주시17.4℃
  • 흐림거창16.8℃
  • 흐림합천17.9℃
  • 흐림밀양17.5℃
  • 흐림산청17.2℃
  • 흐림거제17.8℃
  • 흐림남해18.2℃
  • 흐림17.8℃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연변의 아침은 몇 시인가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연변의 아침은 몇 시인가요?

4.png

몇 년 전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에 위치한 연변대학에서 개최한 국제 지방자치법세미나에 참석한 적이 있다. 연길시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심도시로서 조선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고 하는데 현재 연길시에 남은 조선족 인구는 15만이 채 안된다고 해서 자치주라는 명칭마저 위험할 정도라고 한다. 

 

연길의 첫 인상은 생각보다 깨끗했고 밤의 정취는 여느 도시와 같이 보기 좋았고 화려했다. 늦은 밤거리를 걷다가 허기가 돌아 무심코 들어간 식당 건너편 연대(延大)라고 불리는 연변대에서 끝없이 뿜어내는 화려한 조명을 보면서 연변시가 지저분할 것이라는 나의 좁은 선입관은 여지없이 무너뜨리기 충분했다. 그래도 낯선 곳에서의 잠은 좀처럼 쉽지 않았다. 자는 둥 마는 둥하다가 호텔객실안으로 비춰지는 햇살에 자동으로 기상해서 밖을 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부산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는 가볍게 세수만 하고 호텔주변에 있는 강가를 부지런히 걷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서울에 있는 한강과 같이 여진어로 “버드나무가 무성하다는 뜻의 ‘부르하통하’란 강이었다. 강의 폭은 한강보다 좁지만 강가에 빽빽하게 들어서있는 아파트들을 볼 때 우리나라의 한강주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강둑에는 일찍이 많은 사람들이 낚시를 드리우고 있었고 간간히 지나가는 사람들의 대화소리에 북한 말씨와 비슷한 말이 들려서 신기하기도 했다. 

 

그런데 나의 손목시계의 시간은 새벽 3시! 우리나라와 표준시차 1시간을 감안한다고 해도 새벽 4시에 연길은 벌써 해가 중천에 떠있었다. 혹시 북유럽 국가처럼 백야현상이 아닌가 하는 착각 속에서 몇 가지 의문을 갖고 알아보았는데 이는 바로 중국의 표준시차에 있었다. 중국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협정 세계시)에 8시간을 더한 시간대인 UTC+8 중국 표준시(China Standard Time, CST)를 쓰고 있는데 중국의 광활한 영토에도 불구하고, UTC+8 시간대만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중국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프가니스탄(UTC+4.5)과는 3시간 30분 차이가 있을 정도라고 한다. 


우리나라도 「표준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표준시(標準時)는 동경 135도의 자오선(子午線)을 표준자오선으로 하여 정한다”라고 정하고 있는데. 북한, 일본과 같이 UTC에 9시간을 더한 시간대인 UTC+9을 표준시로 쓰고 있다.

 

이렇게 나라마다 다른 표준시차를 가지고 의견도 시차가 있다. 어떤 이는 대한민국 표준시가 일본 표준시와 같은 동경 135도선(UTC+9)에 맞추어 사용하는지를 두고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의견도 있다. 북한도 2015년도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한다고 시간대를 UTC+8:30로 표준시를 변경했다가 슬그머니 UTC+9로 되돌린 바 있다. 또 어떤 이는  UTC+8을 사용하면 태양의 남중 시간이 빨라져 여름철 기준 해가 새벽 4시에 뜨고 오후 7시에 져버리는 일광을 매우 낭비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렇게 국가별로 각기 다른 시간대에 대한 통념 때문에 나라별 도시별 아침의 시간대가 다른 것 같다. 아직도 연변의 새벽시간에 아침이면서 아침아닌 듯한 ‘부르하통하’강가의 활기찬 풍경이 새삼스럽게 생각난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