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많음속초24.8℃
  • 흐림25.8℃
  • 구름많음철원25.4℃
  • 구름많음동두천26.6℃
  • 구름많음파주25.0℃
  • 구름많음대관령20.0℃
  • 흐림춘천25.5℃
  • 맑음백령도24.0℃
  • 구름많음북강릉23.3℃
  • 구름많음강릉25.6℃
  • 흐림동해25.0℃
  • 구름많음서울26.6℃
  • 구름조금인천25.0℃
  • 구름많음원주26.2℃
  • 구름조금울릉도25.0℃
  • 구름많음수원25.5℃
  • 흐림영월24.2℃
  • 구름많음충주26.5℃
  • 구름많음서산26.9℃
  • 구름많음울진27.2℃
  • 구름많음청주28.2℃
  • 구름많음대전27.7℃
  • 흐림추풍령25.5℃
  • 구름많음안동25.6℃
  • 흐림상주26.2℃
  • 구름많음포항28.2℃
  • 구름많음군산26.5℃
  • 구름많음대구28.8℃
  • 구름많음전주27.1℃
  • 구름많음울산28.1℃
  • 흐림창원28.4℃
  • 구름많음광주28.2℃
  • 흐림부산26.3℃
  • 흐림통영24.3℃
  • 흐림목포26.3℃
  • 흐림여수25.2℃
  • 구름많음흑산도25.6℃
  • 흐림완도27.1℃
  • 구름많음고창27.1℃
  • 흐림순천26.2℃
  • 구름많음홍성(예)26.7℃
  • 구름많음26.1℃
  • 비제주23.0℃
  • 흐림고산22.1℃
  • 흐림성산23.1℃
  • 비서귀포23.0℃
  • 흐림진주27.9℃
  • 맑음강화25.3℃
  • 구름많음양평26.1℃
  • 구름많음이천27.3℃
  • 흐림인제24.9℃
  • 흐림홍천25.0℃
  • 흐림태백22.7℃
  • 흐림정선군25.9℃
  • 구름많음제천24.5℃
  • 구름많음보은26.4℃
  • 구름많음천안26.4℃
  • 구름많음보령25.9℃
  • 구름많음부여27.4℃
  • 구름많음금산25.9℃
  • 구름많음27.0℃
  • 구름많음부안27.1℃
  • 흐림임실26.5℃
  • 구름많음정읍28.4℃
  • 구름많음남원27.0℃
  • 구름많음장수24.2℃
  • 구름많음고창군28.4℃
  • 구름많음영광군27.1℃
  • 흐림김해시27.4℃
  • 흐림순창군26.9℃
  • 흐림북창원28.4℃
  • 흐림양산시28.9℃
  • 구름많음보성군29.1℃
  • 구름많음강진군28.3℃
  • 구름많음장흥28.0℃
  • 구름많음해남27.2℃
  • 흐림고흥27.1℃
  • 흐림의령군29.0℃
  • 구름많음함양군28.6℃
  • 흐림광양시26.8℃
  • 흐림진도군25.3℃
  • 흐림봉화24.7℃
  • 흐림영주25.3℃
  • 구름많음문경26.5℃
  • 구름많음청송군26.7℃
  • 구름많음영덕27.4℃
  • 구름많음의성27.1℃
  • 구름많음구미27.9℃
  • 구름많음영천28.6℃
  • 구름많음경주시28.7℃
  • 구름많음거창28.0℃
  • 구름많음합천29.8℃
  • 흐림밀양29.0℃
  • 구름많음산청29.2℃
  • 흐림거제25.6℃
  • 흐림남해25.9℃
  • 흐림28.6℃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SK지오센트릭, ‘열분해유 석유화학제품 원료화 방법론’ 국내 최초 환경부 인증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증적합성

SK지오센트릭, ‘열분해유 석유화학제품 원료화 방법론’ 국내 최초 환경부 인증

비닐 등 폐플라스틱을 열분해유로 재활용 시 탄소 감축 효과 인정받아

SK_220506.jpg

▲SK환경과학기술원 연구원이 열분해 후처리유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 / 사진 출처 : SK지오센트릭


SK이노베이션은 친환경 화학산업 자회사인 SK지오센트릭이 국내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생산한 열분해정제유를 석유정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사업의 외부방법론(이하 열분해유 방법론)’을 개발해 환경부 인증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SK지오센트릭은 열분해, 후처리 등 과정에서 감축되는 이산화탄소 양을 측정하는 방법 등에 대한 기준·절차가 담긴 방법론을 KRIC(한국기후변화연구원)와 공동개발, 환경부에 제출해 승인을 받았다. 



SK_220506(1-2).jpeg

▲열분해유 생산 및 석유/화학 공정 투입까지 과정 / 사진 출처 : SK지오센트릭


이를 통해 SK지오센트릭은 향후 열분해유 사업에서의 탄소 감축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열분해유란 비닐 등 폐플라스틱을 무산소 상태에서 300~500℃의 고온으로 가열해 만든 원유로 후처리 과정을 거쳐 납사, 경유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정제유다. 기존에 소각하던 폐플라스틱을 다시 정제유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 관련 핵심 기술로 꼽힌다.


SK지오센트릭이 승인받은 방법론에 따르면, 플라스틱 쓰레기 1톤을 처리할 때 소각하지 않고 열분해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고 2.7톤가량 더 줄일 수 있다.


SK지오센트릭은 오는 2025년까지 울산에 21만5000㎡(약 6만5천평) 부지 규모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연간 열분해유 15만톤(투입된 폐플라스틱은 약 20만톤) 후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규모가 실현될 경우 연 40~50만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을 인정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열분해유 방법론 승인으로 탄소 저감 친환경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통해 탄소 발생량 감축에 기여하고,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